본문 바로가기
사회 상식 정보

서울 싱크홀 위험지역 세부 위치 총 정리! 내 집 앞은 안전할까요?

by 한양김선비 2025. 4. 15.

최근 서울 곳곳에서 갑작스러운 땅 꺼짐, 즉 ‘싱크홀’ 사고가 이어지면서 많은 분들이 불안해하고 계시는데요.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 우리 동네에서 일어난다면 얼마나 놀라고 무서울까요? 그래서 오늘은 서울시가 공식적으로 밝힌 싱크홀 위험지역의 세부 위치를 정리해드리려고 해요.

 

특히 평소 자주 다니는 길이나 주거지 주변에 위험지역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해두면 위기 상황에서도 조금은 더 침착하게 대처할 수 있을거에요.

 

 

 

왜 싱크홀이 자꾸 생기나요?

 

서울은 도심 아래에 지하철, 상하수도관, 통신망 등 다양한 지하 시설들이 얽혀 있는 구조인데요.

 

이런 시설들이 노후되거나 공사 후 복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땅 밑에 빈 공간이 생기고 결국 지반이 꺼지면서 싱크홀이 발생하게 되는 거예요.

 

특히 오래된 지역일수록 위험이 더 높고 인구 밀집 지역이나 공사 중인 도로 주변은 상시 점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싱크홀 위험지역

 

서울시가 공개한 '지반침하 고위험 지역' 자료는 지역 내 싱크홀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총 50개 구역들이 위험지대로 분류되었어요. 

  • 강남구: 2곳
  • 구로구: 3곳 
  • 광진구: 22곳
  • 금천구: 7곳
  • 노원구: 2곳
  • 마포구: 2곳
  • 성동구: 3곳
  • 종로구: 9곳

아래 포스트에서는 각 행정구역별 싱크홀 위험지역주소와 지도상 상세 위치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  미리 확인하셔서 싱크홀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 준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미리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

 

사실 싱크홀은 사고 발생 전까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위험이라 더 무서운데요.

 

그래서 더욱 중요한 건 미리 위험지역을 확인하고 주의하는 태도예요. 주차할 때 도로에 균열이나 움푹 패인 부분은 없는지, 공사 중인 인근 지역은 없는지도 함께 살펴보는 습관이 필요해요.

 

또한 자녀와 함께 다니는 길이라면 더더욱 조심해야겠지요. 가능한 한 지하 공사 구간은 우회하고 비 오는 날이나 눈이 쌓인 날에는 시야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발밑을 더 꼼꼼히 살펴보는 게 좋아요.

 

 

싱크홀 대처 요령

혹시 싱크홀이 눈앞에서 발생했거나 싱크홀 발생이 의심된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행정안전부에서는 도심지에서 싱크홀이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간단한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1분도 채 안되는 시간이면 싱크홀 발생시 정확한 대처 요령을 확인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하셔서 싱크홀의 위험으로부터 나 자신을 지켜보세요.

 

 

마무리

서울 한복판에서 발생하는 싱크홀 사고 이제는 남의 일이 아닌것 같아요.

 

내가 사는 동네, 내가 걷는 길이 얼마나 안전한지 스스로 확인하고 대비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지요. 오늘 알려드린 서울 싱크홀 위험지역 리스트 꼭 한 번쯤 체크해보시고 주변 분들과도 공유해보세요.

 

작은 관심이 큰 사고를 막을 수 있다는 사실 잊지 마시고요!